728x90
반응형
(5) 소액 저축・투자 서비스 사례와 특징
강의 정리/[헬로, 핀테크!] 자산관리·보험 2024. 10. 11. 21:02(5) 소액 저축・투자 서비스 사례와 특징

https://finedu.fintech.or.kr/course/view.php?id=496#section-5 FinEDU회원 로그인 finedu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finedu.fintech.or.kr MZ를 위한 소액 저축, 투자 서비스 출현  경제관념 박살난 MZ들을 위해 거스름돈을 저축, 투자하는 서비스도 탄생  Digit은 등록된 은행 계좌의 유휴 현금을 자동으로 저축 또는 투자한다는데 괜찮은 개념 같다.  재밌는 것은 예상 지출이 더 많을 경우 자동으로 인출한다는 점이다! 매달 대출 상환을 해야 하는 팜팜이로서는 참으로 훌륭한 서비스다.  돈이 없을 때부터 이런 경험들을 쭉 하는 게 중요하다,, 나중에 가서 하려고 하면 돈은 많은데 실력이 꽝이라서 날려먹는 경우가 수두룩  은행은 자산과 부채..

(4) 금융자산・부채 관리 서비스 사례와 특징
강의 정리/[헬로, 핀테크!] 자산관리·보험 2024. 10. 11. 20:46(4) 금융자산・부채 관리 서비스 사례와 특징

https://finedu.fintech.or.kr/course/view.php?id=496#section-4 FinEDU회원 로그인 finedu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finedu.fintech.or.kr 마이 데잍가 등장하기 전에 정부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라는 것을 만들었지만 사용하기 복잡하고 연계성이 적어서 사실상 폭망했다.  기존의 금융회사가 제공하지 못했던 금융서비스를 핀테크가 제공한다.  메기가 틀딱들을 휩쓴다!

(3) 자산관리테크 서비스 개요와 트렌드
강의 정리/[헬로, 핀테크!] 자산관리·보험 2024. 10. 10. 23:50(3) 자산관리테크 서비스 개요와 트렌드

https://finedu.fintech.or.kr/course/view.php?id=496#section-3 FinEDU회원 로그인 finedu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finedu.fintech.or.kr  예금으로 자산을 증식하는 시대는 끝났다.  로보어드바이저의 장점은 한계 비용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고액 자산가만 사용할 수 있었는데 지금은 아니다. 자산 관리 서비스의 경쟁이 상승하여 서비스의 질 역시 상승했다.  다만 사람이 트롤하면 그 사람이 담당한 소수의 사람에게만 피해가 가는데 로보어드바이저가 트롤을 하면 수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본다. 또한, 로보어드바이저를 만든 회사가 알고리즘을 교묘하게 움직여 본인 기업에 이익이 되는 쪽으로 움직여도 알기가 힘들다.

(2) 보험의 특징과 위험관리 방법의 이해
강의 정리/[헬로, 핀테크!] 자산관리·보험 2024. 10. 10. 22:31(2) 보험의 특징과 위험관리 방법의 이해

https://finedu.fintech.or.kr/course/view.php?id=496#section-2 FinEDU회원 로그인 finedu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finedu.fintech.or.kr  보험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순수 위험', '우연한 사고'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순수 위험과 달리 '투기 위험'은 손해와 이익의 가능성이 둘 다 존재한다. 위험을 이렇게 넷으로 나누자.  손실의 크기와 발생 가능성이 모두 낮으면 '보유할 위험'으로 취급한다. 왜냐면 대부분 보험의 대상이 되기 힘들거나 현실적으로 발생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굳이 보험에 들 필요가 없다. 손실의 크기는 작지만 발생 가능성이 높다면 '관리할 위험'으로 취급한다. 왜냐면 이 친구는 보험의 대상이 될 수는 있지만 발생 ..

(1) 전통적인 자산관리 서비스 이해하기
강의 정리/[헬로, 핀테크!] 자산관리·보험 2024. 10. 10. 22:16(1) 전통적인 자산관리 서비스 이해하기

https://finedu.fintech.or.kr/course/view.php?id=496#section-1 FinEDU회원 로그인 finedu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finedu.fintech.or.kr  투자에 노력을 들이는 이유는 무위험 수익률보다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단순히 수익률만 높은 게 아니라 위험 대비 수익률이 높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기법들이 사용된다. (위험 조정 수익률이 실질적인 자산운용자의 실력)  위험과 변동성이 같다고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는데(이 영상 포함) 사실 둘은 다르다. 변동성도 하락 변동성에 더 많이(혹은 하락 변동성만을 유일하게) 생각해야 한다. 게다가 변동성이 아주 적어도 그것이 적은 수익으로 연결된다면 위험은 높다고 보는 것이 상식적이다. (워런버핏..

엔화는 말여,, 옛날에도🧓 갑자기 강해졌던💪 때가 있었단다,,
한국은행 총재 조준호/경제 고수의 글을 읽고 2024. 10. 8. 12:59엔화는 말여,, 옛날에도🧓 갑자기 강해졌던💪 때가 있었단다,,

엔화는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인식되어 세계 경제가 혼란스러울 때 강해지는💪 경우가 많아요. 잠깐...! 엔화는 GDP 대비 부채 비율이 엄~~청 높은 것으로 유명한데, 대체 왜 안전자산으로 취급되는 걸까요? 빚이 많으면 경기가 나쁠 때 쉽게 휘청이지 않나요?     💡 일본은 돈을 잘 벌고, 잘 쌓아뒀어요💰일본은 다른 나라와의 거래에서 꾸준히 돈을 벌어요(경상수지 흑자).  일본은 다른 나라에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어요(높은 순외화자산).  그러니 일본은 경제학에서 중요한 개념인 🔎유량(Flow)과 🔎저량(Stock) 둘 다 안정적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돈이 많으니 부채가 많아도 튼튼하겠죠? 🔎유량(Flow) 흐르는 강물과 같아요. 특정 '기간' 동안 얼마나 많은 물이 '흘렀나' 측정..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는👨‍💼 우리의 편견과🤫 다르다
한국은행 총재 조준호/경제 고수의 글을 읽고 2024. 10. 7. 13:44일본의 외국인 노동자는👨‍💼 우리의 편견과🤫 다르다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는 23년 10월 기준으로 200만 명을 넘었어요📈. 08년 이후 연평균 10%씩 증가하였고, 일본 전체 근로자 중 비중이 3.3%까지 올랐어요.  동남아시아인의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는데 특히 베트남은 중국을 제치고 1위를 기록했어요. (우리나라 사람의 비중은 증가 속도는 물론 비중 둘 다 크지 않아요.)  잠깐! 동남아시아 국적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숙련도가 낮거나 제조업 쪽에서 일할 것이라고 생각했나요? 일본에서는 큰 착각이에요. 재류자격별로는 전문적·기술적 분야의 고기능 인재의 비중이, 산업별로는 비제조업 비중이 높아요.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일본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을 두 갈래로 나누어 살펴봐요!    💡 저숙련 노동자를 숙련 노동자로 육성했어요일본이 93년도에 시..

배추🥬 가격이 거미🕸️ 때문에 오른다고...?
한국은행 총재 조준호/팜팜이의 경제 칼럼 2024. 10. 6. 20:02배추🥬 가격이 거미🕸️ 때문에 오른다고...?

요즘 배추가 비싸도 너~~무 비싸요📈 아래 기사처럼 김장 파동에 대비해야겠어요. 어라? 근데 날짜가 조금 이상하지 않나요?  이 기사는 2010년 9월 30일, 그러니까 14년 전에 발행됐어요. 그런데...! 만약 여러분이 배추 가격에 대한 기사를 자주 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면,, 그것은 아마 옳을 겁니다.  2008년 배추값 폭락📉  2010년 배추값 폭등📈  2011년 배추값 폭락📉  2013년, 2014년 배추값 폭락📉  2016년 배추값 폭등📈  2017년 배추값 폭락📉2018년 배추값 폭등📈 그리고 폭락(?)📉  2020년 배추값 폭락📉 그리고 폭등(?)📈  2022년 배추값 폭등📈 그리고 폭락(?)📉  2024년 현재 배추값 폭등📈    도대체 무엇이 문제일까요? ..

프론트엔드 & 백엔드 포함된 초간단 서비스 만들어 보기 - (1) 프론트엔드의 주요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분명 전산학부 졸업 했는데 코딩 개못하는 조준호/Web 2024. 10. 4. 21:16프론트엔드 & 백엔드 포함된 초간단 서비스 만들어 보기 - (1) 프론트엔드의 주요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에 대해 가볍게 짚고 넘어가자.  이 둘은 웹이나 앱을 개발할 때 주요한 두 가지 부분을 담당한다. 프론트엔드는 말 그대로 앞면(front)을 담당한다.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가 실제로 보는 화면을 만드는 부분이다. 웹사이트를 켰을 때 디자인, 버튼, 텍스트 등 눈에 보이는 모든 요소가 프론트엔드로 구성된 것이다. 대표적으로 HTML, CSS, JavaScript가 있는데, HTML은 건물의 뼈대 같은 역할로, 웹 페이지의 기본 구조를 담당한다. CSS는 건물의 인테리어와 같은 역할로, 웹사이트의 색깔, 레이아웃 등을 담당한다. JavaScript는 건물로 따지자면 전기를 넣어 자동문이 작동하게 되는 것으로, 버튼을 클릭했을 때 페이지가 바뀌거나 요소가 움직이는 등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728x90
반응형
image